카테고리 없음

소화와 흡수

천굴비인 2008. 11. 26. 09:12

소화 기관


1. 소화

(1) 소화 :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영양소를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해하는 과정이다.
(2) 영양소의 소화
  ·녹말 → 포도당이 된다.
  ·단백질 → 아미노산이 된다.
  ·지방 →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된다.


2. 소화 기관

(1) 소화관 :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된 긴 관으로 음식물이 지나면서 소화가 일어난다.
   입 → 식도 → 위 → 소장 → 대장 → 항문
(2) 소화샘 : 소화액을 만들어 소화관으로 분비하는 셈이다.
  ① 침샘 : 입으로 침을 분비하며, 침에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 효소가 들어 있다.
  ② 위샘 : 위로 위액을 분비하며, 위액에는 펩신과 염산이 들어 있다.
  ③ 이자 : 소장으로 이자액을 분비한다. 이자액에는 아밀라아제, 말타아제, 트립신, 리파아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등의 여러 가지 효소가 들어 있다.
  ④ 간 : 쓸개즙을 만들어 쓸개에 저장하였다가 소장으로 분비한다. 쓸개즙에는 소화 효소가
            들어있지 않고 지방이 잘 소화되게 한다.
  ⑤ 장샘 : 소장에 있으며 장액을 분비한다. 장액에는 말타아제, 펩티다아제 등의 여러 가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효소가 들어 있다.
(3) 소화 효소 :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이다. 단백질로 되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있으며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작용이 가장 활발하다.



입에서의 소화


1. 기계적 소화
(1) 이 : 음식물을 씹어서 잘게 부순다.
(2) 혀 : 음식물을 침과 잘 섞어서 식도로 넘긴다.
(3) 식도 : 연동 운동으로 음식물을 위로 보낸다.


2. 화학적 소화
침에 의하여 녹말의 소화가 이루어진다.
(1) 침샘 : 귀밑샘, 혀밑샘, 턱밑샘의 3쌍이 있으며, 음식물이 입 안에 들어오면 반사적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침을 분비한다.
(2) 침의 작용 : 침 속에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 효소가 들어 있어 녹말을 엿당과 덱스트린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로 분해한다.



위에서의 소화


1.기계적 소화
위벽 근육의 수축 운동에 의하여 음식물을 위액과 잘 섞어 암죽과 같은 상태로 만든 다음,
연동운동에 의하여 음식물을 십이지장으로 보낸다.

2. 화학적 소화
위샘에서 분비된 위액 속에는 점액, 염산, 펩신이 들어 있으며, 이 중에서
펩신이 화학적 소
화를 담당하는 효소이다.
  ① 펩신 : 위샘에서 분비될 때는 펩시노겐의 상태인데 염산과 반응하여 펩신으로 되며, 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백질을 펩톤으로 분해한다. 펩신은 강한 산성 상태에서만 소화 작용을 나타낸다.
  ② 염산 : 강한 산성으로,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여(살균 작용)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하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펩신의 작용을 돕는다.



소장에서의 소화 및 대장의 작용


1. 소장에서의 소화

      (1) 기계적 소화
            ① 혼합 운동 : 소장벽이 부분적으로 수축과 이완 운동을 함으로써 위에서 내려온 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식물이 소화액과 잘 섞이도록 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② 연동 운동 : 소장의 잘록한 부분이 뒤로 밀려가면서 음식물을 아래로 내려보낸다.


       (2) 화학적 소화 : 이자액, 쓸개즙, 장액에 의하여 탄수화물, 지방, 단백질이 모두 소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① 이자액 : 이자에서 만들어져서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약한 염기성의 액체로, 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립신, 리파아제, 아밀라아제, 말타아제 등의 효소가 들어 있어 3대 영양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를 모두 분해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② 쓸개즙 :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에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황갈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의 쓴맛이 나는 액체이다. 소화 효소는 들어 있지 않으며, 지방을 작은 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갱이로 만들어 리파아제의 작용을 돕는다. 또, 쓸개즙은 강한 염기성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띠고 있어 십이지장으로 넘어온 위액을 중화시키고, 소장 속의 음식물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③ 장액 : 소장의 융털 돌기 사이에 있는 장샘에서 분비되는 약한 염기성 액체로, 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수화물과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이 들어 있다.

소화샘

소화액

소화 효소

소화 작용

이자

이자액

트립신

리파아제

아밀라아제

말타아제

단백질→펩톤

지방→지방산, 글리세롤

녹말→엿당

엿당→포도당

쓸개즙

없음

지방의 소화를 돕는다.

장샘

장액

말타아제

펩티다아제

수크라아제

락타아제

엿당→포도당

펩톤→아미노산

설탕→포도당, 과당

젖당→포도당, 갈락토오스



2. 대장의 작용

   (1) 대장의 구조 : 길이가 약 1.5m이고 소장보다 굵으며, 맹장, 결장, 직장의 순서로 배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되어 있다.

   (2) 대장의 작용
        ① 소화 효소가 없어 소화 작용은 일어나지 않으며, 주로 소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이             흡수된다.
        ②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 의하여 찌꺼기가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한다.
        ③ 찌꺼기가 굳어져 대변이 되며, 이것은 대장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항문을 통해 몸
            밖으로 배설된다.



소장 융털의 구조 및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


1. 소장 융털의 구조

   소장 안쪽 벽의 주름 표면에 수없이 많이 나 있는 융털은 표면적을 넓혀 주기 때문에 소화
   가 끝난 영양소가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.

   (1) 표피 : 융털의 표면은 한 층의 표피 세포로 되어 있어 영양소가 잘 통과된다.
   (2) 암죽관 : 융털의 중앙에는 림프관이 있는데, 이것을 암죽관이라고 한다.
   (3) 모세 혈관 : 융털의 암죽관 주위를 무수히 많은 모세 혈관이 그물처럼 둘러싸고 있다.



2. 영양소의 최종 소화 산물

   (1) 탄수화물 : 포도당(침, 이자액, 장액에 의해)
   (2) 지방 : 지방산, 글리세롤(이자액에 의해)
   (3) 단백질 : 아미노산(위액, 이자액, 장액에 의해)


3. 영양소의 흡수

   (1) 모세 혈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: 포도당, 아미노산, 물, 무기 염류, 수용성 비타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B·C) 등은 융털의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다.
   (2) 암죽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: 지방산, 글리세롤, 지용성 비타민(A·D·E·K) 등은 융털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암죽관으로 흡수된다.




4.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

   (1)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: 모세 혈관→간문맥→간→대정맥→심장→대동맥→온몸
   (2) 암죽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: 암죽관→가슴관→목 밑 대정맥→심장→대동맥→온몸





5. 흡수된 영양소의 이용과 저장

   (1) 포도당 : 포도당의 일부는 간에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고, 나머지는 온몸의 조직 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인다.
   (2) 아미노산 : 세포로 운반된 아미노산은 다시 단백질로 합성되어 원형질의 재료가 된다.
   (3) 지방산과 글리세롤 :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지방으로 재합성되어 암죽관으로 흡수되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온몸의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이거나 피부 밑 등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저장된다.